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1년 창설되어 FIFA 월드컵 본선에 6번 진출했으며, 1990년에는 16강, 2014년에는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CONCACAF 골드컵에서는 3번의 우승과 1번의 준우승을 기록했고,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에서는 최다 우승국(8회)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올림픽 축구에서는 2004년 8강 진출이 최고 성적이며,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주요 선수로는 셀소 보르헤스, 브라이언 루이스, 조엘 캠벨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은 11전 3승 3무 5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타리카의 축구 - 코스타리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코스타리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코스타리카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90년 첫 국제 경기에 참가, 1999년 팬아메리칸 게임 동메달 획득,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첫 진출하였으며 'Las Ticas'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코스타리카의 축구 - 코스타리카 축구 연맹
코스타리카 축구 연맹은 코스타리카의 축구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기구이며, 1921년에 창설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 CONCACAF에 관한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CONCACAF에 관한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FIFA 트리그램 | CRC |
별칭 | Los Ticos (로스 티코스, "티코") La Sele (라 셀레, "대표팀") La Tricolor (라 트리콜로르, "삼색기") Los Diablos Rojos (로스 디아블로스 로호스, "붉은 악마") |
협회 | 코스타리카 축구 연맹(FCRF)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
하위 연맹 | 중앙 아메리카 축구 연맹(UNCAF) |
홈 경기장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
웹사이트 | 코스타리카 축구 연맹 공식 웹사이트 |
기술 정보 | |
감독 | 클라우디오 비바스(임시) |
주장 | 프란시스코 칼보 |
최다 출장 선수 | 셀소 보르헤스(163회) |
최다 득점 선수 | 롤란도 폰세카(47골) |
유니폼 | |
![]() | |
![]() | |
FIFA 랭킹 | |
현재 랭킹 | 52위 |
최고 랭킹 | 13위 (2015년 2월~3월) |
최저 랭킹 | 93위 (1996년 7월) |
Elo 랭킹 | |
현재 랭킹 | 52위 |
최고 랭킹 | 13위 (1960년 3월 11일) |
최저 랭킹 | 81위 (1983년 3월)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코스타리카 7–0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시티, 과테말라; 1921년 9월 14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코스타리카 12–0 푸에르토리코(1912년) (바랑키야, 콜롬비아; 1946년 12월 10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멕시코 7–0 코스타리카 (멕시코 시티, 멕시코; 1975년 8월 17일) 스페인 7–0 코스타리카 (도하, 카타르; 2022년 11월 23일) |
월드컵 | |
출전 횟수 | 6회 |
첫 출전 | 1990년 |
최고 성적 | 8강 (2014년) |
CONCACAF 선수권 대회 / 골드컵 | |
출전 횟수 | 22회 |
첫 출전 | 1963년 |
최고 성적 | 우승 (1963년, 1969년, 1989년)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 |
출전 횟수 | 1회 |
첫 출전 | 2021년 |
최고 성적 | 4위 (2021년) |
코파 아메리카 | |
출전 횟수 | 6회 |
첫 출전 | 1997년 |
최고 성적 | 8강 (2001년, 2004년) |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 |
우승 | 1991년 1997년 1999년 2003년 2005년 2007년 2013년 2014년 |
준우승 | 1993년 2001년 2009년 2011년 |
2. 역사
코스타리카 대표팀은 1990년 이탈리아 대회에서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 출전하여 조별 리그를 2승 1패, 조 2위로 통과하며 16강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다.[15]
2014년 브라질 대회에서는 우루과이, 이탈리아, 잉글랜드와 함께 이른바 "죽음의 조" (D조)에 속했다. 우루과이와의 첫 경기에서 3-1로 역전승, 브라이언 루이스의 골로 이탈리아에 1-0 승리, 잉글랜드와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 그리스와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끝에 8강에 진출했고, 8강전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도 승부차기까지 갔지만 패하며 무패(2승 3무)로 대회를 마쳤다.
2018년 러시아 대회 E조에서는 브라질, 스위스, 세르비아와 경기를 치렀다. 세르비아와 브라질에 패하고, 스위스와 비기면서 1무 2패, 조 4위로 탈락했다.
2022년 카타르 대회에서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뉴질랜드를 1-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 E조에서 스페인, 독일, 일본과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스페인에 0-7로 대패했지만, 일본에 1-0으로 승리하며 16강 진출의 희망을 이어갔다. 그러나 독일과의 경기에서 2-4로 패하며 1승 2패, 조 4위로 탈락했다.[16][17][18][19][20]
2. 1. 초기 역사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1년 9월 과테말라 시티에서 열린 독립 100주년 기념 경기에서 데뷔하여 첫 경기에서 엘살바도르를 7-0으로 이겼다. 결승전에서 코스타리카는 과테말라를 6-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4]1940년대 후반 코스타리카 팀은 "황금 반바지"라는 별명을 얻었다.[5]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코스타리카는 멕시코에 이어 CONCACAF 지역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팀이었으며, 1958년, 1962년, 1966년 월드컵 예선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 시기 팀의 스타로는 루벤 히메네스, 에롤 다니엘스, 레오넬 에르난데스, 에드가 마린 등이 있었다. 그러나 코스타리카는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지 못했고, 그 시기에는 월드컵에 진출하지 못했다.
1960년대 말, 과테말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아이티, 트리니다드 토바고, 캐나다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코스타리카의 운세는 하락했다.
2. 2. 1980년대
코스타리카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1986년 예선까지 CONCACAF 예선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지 못했다.코스타리카는 1980년 모스크바와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 2회 연속 참가했다. 1980년 대회 D조에서 유고슬라비아, 핀란드, 이라크에 각각 3-2, 3-0, 3-0으로 졌다. 로스앤젤레스에서는 미국에 3-0, 이집트에 4-1로 졌지만, 미드필더 엔리케 리버스의 골로 발터 쳉가,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프랑코 바레시, 알도 세레나 등을 포함한 강호 이탈리아를 1-0으로 이겼다.
2. 3. 1990년 FIFA 월드컵
1989년 CONCACAF 선수권 대회에서 코스타리카는 우승하여 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 1라운드에서 코스타리카는 파나마를 합계 3-1로 꺾었다. 2라운드에서는 멕시코와 맞붙게 되었지만, 상대팀이 나이 속임수로 실격 처리되면서 부전승으로 진출했다.코스타리카는 최종 예선 조별 리그에서 과테말라와 미국을 상대로 홈에서 승리하고 원정에서 패배하는 경기를 치렀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1-1로 비긴 후 카야소의 골로 홈에서 1-0으로 승리했다. 코스타리카는 엘살바도르를 상대로 원정에서 4-2, 홈에서 1-0으로 승리했다. 코스타리카는 골 득실차에서 미국을 앞서 조 1위로 조별 리그를 마쳤다.
1990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C조에 편성된 코스타리카는 카야소의 골에 힘입어 스코틀랜드를 1-0으로 꺾으며 시작했다. 브라질에 같은 점수로 패배했지만,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 스웨덴을 상대로 2-1 역전승을 거두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코스타리카는 토마스 스쿠라비가 해트트릭을 기록한 체코슬로바키아에게 4-1로 패했다.
1990년 대회에서 코스타리카는 처음으로 월드컵에 출전하여 조별 리그를 2승 1패로 통과하여 16강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2. 4.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코스타리카는 브라질 출신 질손 누네스 감독과 이후 귀화한 브라질 출신 알렉상드레 기마랑이스 감독의 지도를 받았다. 첫 예선 조별 리그에서 바베이도스에 2-1로 예상치 못한 패배를 당했지만, 이후 리카르도 사프리사 스타디움에서 롤란도 폰세카와 에르난 메드포드의 골로 미국을 2-1로 꺾었다. 파울로 완초페의 두 골로 에스타디오 알레한드로 모레라 소토에서 과테말라를 2-1로 이겼고, 자페트 소토, 폰세카, 메드포드의 골로 리카르도 사프리사에서 바베이도스를 3-0으로 꺾었다. 미국과 무승부를 거두고 과테말라에 2-1로 패한 후, 마이애미에서 열린 과테말라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폰세카의 두 골과 완초페, 레이날도 파크스, 자페스 소토의 골로 5-2 승리를 거두었다.최종 예선 라운드에서 코스타리카는 폰세카와 로드리고 코르데로의 골로 리카르도 사프리사에서 온두라스와 2-2 무승부를 기록했고, 모레라 소토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3-0으로 꺾었다. 미국에 1-0으로 패했지만, 멕시코 시티에서 폰세카와 메드포드의 골로 멕시코를 2-1로 꺾는 '아즈테카소'를 기록했다. 자메이카, 온두라스,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상대로 승리하며 예선 통과에 근접했고, 폰세카의 두 골로 사프리사에서 미국을 2-0으로 꺾으며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결선에서 코스타리카는 C조에서 브라질, 중국, 터키와 한 조에 속했다. 광주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중국을 2-0으로 꺾었고, 인천에서 열린 터키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 윈스턴 파크스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브라질과의 경기에서는 5-2로 패했지만, 터키가 중국을 3-0으로 꺾으면서 코스타리카는 골득실 차로 터키에 뒤져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2. 5. 2006년 FIFA 월드컵
코스타리카는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지만, 예선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감독이 교체되는 상황을 맞이했다. 최종 예선에서 미국을 꺾고 세 번째 월드컵 진출을 확정지었다.2006년 FIFA 월드컵 개막전에서 코스타리카는 개최국 독일을 상대로 경기를 치렀다. 파울로 완초페가 두 골을 넣으며 분전했지만, 필리프 람에게 선제골을 허용하는 등 4-2로 패했다. 이후 에콰도르에게 3-0, 폴란드에게 2-1로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6. 2014년 FIFA 월드컵
2014년 브라질 대회에서 코스타리카는 D조에 속했는데, 이 조는 코스타리카 외에 우루과이, 이탈리아, 잉글랜드 3개국이 모두 FIFA 월드컵 우승 경험이 있는 "죽음의 조"였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스타리카는 우루과이와의 첫 경기에서 전반전에 에딘손 카바니에게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내줬지만, 후반에 3골을 넣어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어진 이탈리아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전반 종료 직전 브라이언 루이스의 골을 지켜내며 D조 1위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잉글랜드와의 세 번째 경기에서는 0-0으로 비기며 조별 리그 1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6강 그리스와의 경기에서는 연장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사상 처음으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전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는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차기로 이어졌지만, 2명이 막히면서 결국 무패(2승 3무)로 대회를 마쳤다. 이는 1990년 대회 16강 진출 이후 24년 만의 최고 성적이며, 2002년 대회에서 준결승에 오른 대한민국과 더불어 역대 월드컵 최고의 이변을 일으킨 팀으로 기록되었다. 또한 1938년 쿠바, 1970년과 1986년 멕시코, 2002년 미국에 이어 월드컵 8강에 오른 역대 4번째 북중미 팀이 되었다.
2. 7. 2018년 FIFA 월드컵
2018년 FIFA 월드컵에서 코스타리카는 브라질, 스위스, 세르비아와 함께 E조에 속했다. 첫 경기 세르비아전에서 0-1로 패했고, 두 번째 브라질전에서 0-2로 패했다. 마지막 스위스전에서는 2-2로 비기면서 1무 2패, 조 4위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여 2회 연속 16강 진출에 실패했다.2. 8. 2022년 FIFA 월드컵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코스타리카는 최종 예선 라운드로 직행했다. 7승 4무 3패로 미국에 이어 4위를 기록하며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카타르 알 라이얀에서 열린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뉴질랜드를 1-0으로 꺾고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본선에서는 E조에 속해 스페인, 독일, 일본과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2022년 11월 23일, 첫 경기인 스페인과의 경기에서는 다니 올모에게 선제골을 내주는 등 잇따라 실점했고, 슈팅조차 한 번도 기록하지 못하며 0-7로 대패했다.[10] 이는 2010년 이후 월드컵에서 가장 큰 점수 차 패배이자, 1975년 8월 17일 멕시코 시티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경기(0-7 패)와 더불어 코스타리카 프로 축구 역사상 최악의 패배였다.
과거 4번의 맞대결에서 한 번도 승리한 적이 없던 일본과의 경기에서는 시종일관 수세에 몰렸지만 케일러 나바스의 선방으로 실점을 막았고, 81분에는 상대의 클리어링 미스를 틈타 후반 유일한 유효 슈팅을 기록한 케이스르 풀레르가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승리, 조별 리그 역전 진출에 대한 희망을 이어갔다.[17][18] (코스타리카가 일본에게 승리한 것은 통틀어 처음이다.[19]).
세 번째 경기인 독일과의 경기에서는 전반에 선제골을 내주었지만, 후반에 한때 역전에 성공하여 조별 리그 통과의 가능성이 있었지만, 곧바로 3골을 내주면서 최종적으로 2-4로 패배, 1승 2패로 4위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0]
3. 국제 대회 경력
코스타리카는 여러 국제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었다.
FIFA 월드컵코스타리카는 1990년 이탈리아 대회에서 처음으로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여 16강에 올랐다. 2014년 브라질 대회에서는 잉글랜드, 이탈리아, 우루과이 등 강팀들을 제치고 8강에 진출하여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이는 2002년 대한민국과 함께 역대 월드컵 최고의 이변으로 꼽힌다.
2018년 러시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2022년 카타르 대회에서는 일본을 1-0으로 꺾는 등 선전했다.[17][18]
개최국 / 년도 | 성적 | 시합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0 | 16강 | 4 | 2 | 0 | 2 | 4 | 6 |
2002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5 | 6 |
2006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0 | 3 | 3 | 9 |
2014 | 8강 | 5 | 2 | 3 | 0 | 5 | 2 |
2018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1 | 2 | 2 | 5 |
2022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3 | 11 |
합계 | 6회 출전 | 21 | 6 | 5 | 10 | 22 | 39 |
CONCACAF 골드컵코스타리카는 CONCACAF 골드컵의 전신인 CONCACAF 선수권 대회에서 3번(1963년, 1969년, 1989년) 우승했다. 골드컵으로 명칭이 변경된 이후에는 200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 class="wikitable"
|+ CONCACAF 선수권 대회 & 골드컵 기록
|-
|
대회 | 결과 |
---|---|
1963년 | 우승 |
1965년 | 3위 |
1969년 | 우승 |
1971년 | 3위 |
1985년 | 3위 |
1989년 | 우승 |
1991년 | 4위 |
1993년 | 3위 |
1998년 | 1차 리그 탈락 |
2000년 | 8강 |
2002년 | 준우승 |
2003년 | 4위 |
2005년 | 8강 |
2007년 | 8강 |
2009년 | 4강 |
2011년 | 8강 |
2013년 | 8강 |
2015년 | 8강 |
2017년 | 4위 |
2019년 | 8강 |
2021년 | 8강 |
2023년 | 8강 |
|}
코파 아메리카코스타리카는 초청팀 자격으로 코파 아메리카에 5번 출전하여 2001년 대회와 2004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1]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에서는 14번의 대회에 모두 출전하여 8번 우승, 4번 준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CONCACAF 네이션스리그CONCACAF 네이션스리그 리그 A에서 아이티, 퀴라소를 상대로 1승 3무를 기록, 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하며 2021년 골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1]
하계 올림픽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2004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팬아메리칸 게임팬아메리칸 게임에는 8번 출전하여 1951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3. 1. FIFA 월드컵
코스타리카는 1990년 이탈리아 대회에서 처음으로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여 16강에 오르는 돌풍을 일으켰다. 2014년 브라질 대회에서는 잉글랜드, 이탈리아, 우루과이 등 역대 월드컵 우승 경험이 있는 강팀들을 모두 제치고 8강에 진출하며 팀 역사상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이는 2002년 대한민국과 더불어 역대 월드컵 최고의 이변으로 기록되었으며, 1938년 쿠바, 1970년과 1986년 멕시코, 2002년 미국에 이어 월드컵 8강에 오른 역대 4번째 북중미 팀이 되었다.2018년 러시아 대회에서는 브라질, 스위스, 세르비아와 같은 조에 속했으나, 1무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22년 카타르 대회에서는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에 진출, 스페인, 독일, 일본과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스페인에게는 0-7로 대패했지만,[16] 일본에게는 1-0으로 승리했다.[17][18] (코스타리카가 일본에게 승리한 것은 통틀어 처음이다.[19]). 독일과의 경기에서는 2-4로 패하며 1승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0]
개최국 / 년도 | 성적 | 시합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 | 불참 | ||||||
1934 | |||||||
1938 | 기권 | ||||||
1950 | 불참 | ||||||
1954 | |||||||
1958 | 예선 탈락 | ||||||
1962 | |||||||
1966 | |||||||
1970 | |||||||
1974 | |||||||
1978 | |||||||
1982 | |||||||
1986 | |||||||
1990 | 16강 | 4 | 2 | 0 | 2 | 4 | 6 |
1994 | 예선 탈락 | ||||||
1998 | |||||||
2002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5 | 6 |
2006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0 | 3 | 3 | 9 |
2010 | 예선 탈락 | ||||||
2014 | 8강 | 5 | 2 | 3 | 0 | 5 | 2 |
2018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1 | 2 | 2 | 5 |
2022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3 | 11 |
합계 | 출전 6회 | 21 | 6 | 5 | 10 | 22 | 39 |
3. 2. CONCACAF 골드컵
코스타리카는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전신인 CONCACAF 선수권 대회를 포함하여 총 21번 출전했다. 1963년, 1969년, 1989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모두 CONCACAF 선수권 대회 시절의 기록이다. 골드컵으로 명칭이 변경된 이후에는 200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8년 대회를 제외하고는 모든 대회에서 8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골드컵 본선 기록 | 골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북중미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 북중미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
1963년 | 결승리그 | 우승 | 6 | 5 | 1 | 0 | 14 | 2 | 16 | 자동참가 | ||||||
1965년 | 결선리그 | 3위 | 5 | 2 | 2 | 1 | 11 | 4 | 8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1967년 | 불참 | |||||||||||||||
1969년 | 결선리그 | 우승 | 5 | 4 | 1 | 0 | 13 | 2 | 13 | 자동참가(개최국) | ||||||
1971년 | 결선리그 | 3위 | 5 | 2 | 1 | 2 | 6 | 5 | 7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1973년 | 예선 탈락 | 0|1|1|4|5|1 | ||||||||||||||
1977년 | 1|4|1|8|6|7 | |||||||||||||||
1981년 | 1|4|3|6|10|7 | |||||||||||||||
1985년 | 결승리그 | 3위 | 8 | 2 | 5 | 1 | 10 | 8 | 11 | 자동진출 | ||||||
1989년 | 결선리그 | 우승 | 8 | 5 | 1 | 2 | 10 | 6 | 16 | 자동진출 | ||||||
CONCACAF 골드컵 (본선) | CONCACAF 골드컵 (예선) | |||||||||||||||
1991년 | 준결승 | 4위 | 5 | 1 | 0 | 4 | 5 | 9 | 3 | 자동참가 | ||||||
1993년 | 준결승 | 3위 | 5 | 1 | 3 | 1 | 6 | 5 | 6 | 4|0|1|11|2|12 | ||||||
1996년 | 예선 탈락 | 1|1|2|5|6|4 | ||||||||||||||
1998년 | 조별리그 | 5위 | 2 | 1 | 0 | 1 | 8 | 4 | 3 | 3|2|0|12|3|11 | ||||||
2000년 | 8강 | 8위 | 3 | 0 | 2 | 1 | 5 | 6 | 2 | 3|0|2|13|3|9 | ||||||
2002년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8 | 5 | 10 | 2|2|1|8|5|8 | ||||||
2003년 | 준결승 | 4위 | 5 | 2 | 0 | 3 | 10 | 8 | 6 | 4|1|0|5|1|13 | ||||||
2005년 | 8강 | 5위 | 4 | 2 | 1 | 1 | 6 | 4 | 7 | 3|1|0|8|2|10 | ||||||
2007년 | 8강 | 7위 | 4 | 1 | 1 | 2 | 3 | 4 | 4 | 2|1|1|6|3|7 | ||||||
2009년 | 준결승 | 4위 | 5 | 2 | 2 | 1 | 10 | 6 | 8 | 3|1|0|9|1|10 | ||||||
2011년 | 8강 | 6위 | 4 | 1 | 2 | 1 | 8 | 6 | 7 | 1|2|1|5|4|5 | ||||||
2013년 | 8강 | 5위 | 4 | 2 | 0 | 2 | 4 | 2 | 4 | 4|1|0|6|1|13 | ||||||
2015년 | 8강 | 7위 | 4 | 0 | 3 | 1 | 3 | 4 | 3 | 2|1|0|7|3|7 | ||||||
2017년 | 준결승 | 4위 | 5 | 3 | 1 | 1 | 6 | 3 | 10 | 1|3|1|4|2|6 | ||||||
2019년 | 8강 | 5위 | 4 | 2 | 1 | 1 | 8 | 4 | 7 | 자동참가 | ||||||
2021년 | 8강 | 5위 | 4 | 3 | 0 | 1 | 8 | 4 | 9[1] | 1|3|0|4|3|6 | ||||||
합계 | 21회 진출(21/26) | 우승(3회) | 96 | 41 | 28 | 27 | 154 | 97 | 151 | 78 | 36 | 28 | 14 | 121 | 60 | 136 |
순위 |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3위 |
{| class="wikitable"
|+ CONCACAF 선수권 대회 & 골드컵 기록
|-
|
대회 | 결과 |
---|---|
1963년 | 우승 |
1965년 | 3위 |
1967년 | 불참 |
1969년 | 우승 |
1971년 | 3위 |
1973년 | 예선 탈락 |
1977년 | 예선 탈락 |
1981년 | 예선 탈락 |
1985년 | 3위 |
1989년 | 우승 |
1991년 | 4위 |
1993년 | 3위 |
1996년 | 예선 탈락 |
1998년 | 1차 리그 탈락 |
2000년 | 8강 |
2002년 | 준우승 |
2003년 | 4위 |
2005년 | 8강 |
2007년 | 8강 |
2009년 | 4강 |
2011년 | 8강 |
2013년 | 8강 |
2015년 | 8강 |
2017년 | 4위 |
2019년 | 8강 |
2021년 | 8강 |
2023년 | 8강 |
|}
3. 3. 코파 아메리카
코스타리카는 초청팀 자격으로 코파 아메리카에 5번 출전했다. 이 중 2001년 대회와 2004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고, 나머지 3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97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1 | 2 | 2 | 10 |
2001 | 8강 | 4 | 2 | 1 | 1 | 7 | 3 |
2004 | 8강 | 4 | 1 | 0 | 3 | 3 | 8 |
2011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2 | 4 |
2016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3 | 6 |
2024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2 | 4 |
합계 | 5회 출전 | 20 | 6 | 4 | 10 | 19 | 35 |
3. 4.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에는 14번의 대회에 모두 출전하여 이 중 무려 8번의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4번의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참가했던 모든 대회에서 준결승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7년 대회를 끝으로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가 폐지되면서 코스타리카는 이 대회의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영구 보유하게 되었다.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Costa Rica|코스타리카es 1991 | 우승 | 3 | 3 | 0 | 0 | 10 | 1 |
Honduras|온두라스es 1993 | 준우승 | 3 | 2 | 0 | 1 | 3 | 2 |
El Salvador|엘살바도르es 1995 | 4위 | 4 | 1 | 1 | 2 | 5 | 6 |
Guatemala|과테말라es 1997 | 우승 | 5 | 3 | 2 | 0 | 12 | 3 |
Costa Rica|코스타리카es 1999 | 5 | 3 | 0 | 2 | 13 | 3 | |
Honduras|온두라스es 2001 | 준우승 | 5 | 2 | 2 | 1 | 8 | 5 |
Panama|파나마es 2003 | 우승 | 5 | 4 | 1 | 0 | 5 | 1 |
Guatemala|과테말라es 2005 | 4 | 3 | 1 | 0 | 8 | 2 | |
El Salvador|엘살바도르es 2007 | 4 | 2 | 1 | 1 | 5 | 2 | |
Honduras|온두라스es 2009 | 준우승 | 4 | 3 | 1 | 0 | 9 | 1 |
Panama|파나마es 2011 | 4 | 1 | 2 | 1 | 6 | 5 | |
Costa Rica|코스타리카es 2013 | 우승 | 5 | 4 | 1 | 0 | 6 | 1 |
United States|미국영어 2014 | 3 | 2 | 1 | 0 | 7 | 3 | |
Panama|파나마es 2017 | 4위 | 5 | 1 | 3 | 1 | 4 | 2 |
합계 | 14/14 | 59 | 34 | 16 | 9 | 103 | 37 |
3. 5.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코스타리카는 201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 직행으로 CONCACAF 네이션스리그 리그 A에 편입되었다. 2019년 CONCACAF 골드컵에서 준결승에 진출한 아이티, 2019년 킹스컵 우승팀 퀴라소와 함께 A조에 배정되었다. 코스타리카는 아이티와의 첫 경기에서 1-1로 비겼고, 퀴라소와의 2차전에서도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그러나 퀴라소와의 3차전에서 2-1로 승리했고, 아이티와의 최종전에서 다시 1-1로 비기면서 1승 3무, 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와 함께 통산 21번째 골드컵 본선 진출도 확정지었다.[1]3. 6. 하계 올림픽
코스타리카는 올림픽 축구 본선에 3번 출전했다. 이 중 2004년 대회에서 U-23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8강에 진출하였고, 나머지 2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3. 7. 팬아메리칸 게임
코스타리카는 팬아메리칸 게임에 8번 출전하여 1951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1975년 대회, 1979년 대회, 2011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1995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1]4. 선수단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와 과거의 선수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선수층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선수 명단과 최근 차출된 선수는 2022년 FIFA 월드컵 최종 명단을 비롯하여 2024 코파 아메리카 등 최근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선수 명단의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역대 주요 선수코스타리카 축구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왈테르 센테노
- 파울로 완초페[13]
- 힐베르토 마르티네스[13]
- 크리스티안 볼라뇨스[13]
- 카를로스 에르난데스[13]
- 브라이언 루이스[13]
- 롤란도 폰세카[13]
- 조엘 캠벨[13]
- 케이로르 나바스[13]
이들은 코스타리카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들로,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활약하며 코스타리카 축구의 위상을 높였다. 특히, 케이로르 나바스는 레알 마드리드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 3연패를 달성하는 등 세계적인 골키퍼로 명성을 떨쳤다.[13]
4.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 | 위치 | 선수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 득점 | 소속 |
---|---|---|---|---|---|---|
1 | GK | 에스테반 알바라도 | 24 | 0 | 에레디아노 | |
18 | GK | 아론 크루스 | 2 | 0 | 사프리사 | |
23 | GK | 패트릭 세케이라 | 1 | 0 | 루고 | |
3 | DF | 후안 파블로 바르가스 | 11 | 1 | 미요나리오스 | |
4 | DF | 케이셔 풀러 | 29 | 2 | 에레디아노 | |
6 | DF | 오스카르 두아르테 | 70 | 3 | 알웨흐다 | |
8 | DF | 브리안 오비에도 | 74 | 2 | 레알 솔트레이크 | |
15 | DF | 프란시스코 칼보 | 75 | 8 | 코니아스포르 | |
19 | DF | 켄달 와스톤 | 61 | 7 | 사프리사 | |
22 | DF | 카를로스 마르티네스 | 5 | 0 | San Carlos | |
2 | MF | 다니엘 차콘 | 7 | 0 | 카르타히네스 | |
5 | MF | 셀소 보르헤스 | 154 | 27 | 알라후엘렌세 | |
9 | MF | 헤위손 베네테 | 7 | 2 | 선덜랜드 | |
10 | MF | 브리안 루이스 (주장) | 144 | 29 | 알라후엘렌세 | |
13 | MF | 헤르손 토레스 | 13 | 1 | 에레디아노 | |
14 | MF | 오를란도 갈로 | 9 | 0 | 에레디아노 | |
16 | MF | 아론 수아레스 | 3 | 0 | 알라후엘렌세 | |
17 | MF | 로안 윌손 | 2 | 0 | Grecia | |
20 | MF | 브란돈 아길레라 | 2 | 0 | Guanacasteca | |
21 | MF | 카를로스 모라 | 2 | 0 | 알라후엘렌세 | |
24 | MF | 더글라스 로페스 | 1 | 0 | Santos de Guápiles | |
25 | MF | 앤서니 에르난데스 | 1 | 0 | Puntarenas | |
26 | MF | 알바로 사모라 | 1 | 0 | 사프리사 | |
7 | FW | 앤서니 곤트레라스 | 8 | 2 | 에레디아노 | |
11 | FW | 호안 베네가스 | 80 | 11 | 알라후엘렌세 | |
12 | FW | 조엘 캠벨 | 118 | 25 | 레온 |
4. 2. 최근 차출된 선수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출장 수 | 득점 수 | 소속팀 | 최근 차출 |
---|---|---|---|---|---|---|
GK | 아론 크루스 | 1991년 5월 25일 | 4 | 0 | C.S. 에레디아노es | 과테말라, 2024년 9월 9일 |
GK | 케빈 차모로 | 2000년 4월 8일 | 11 | 0 | 에스토릴 프라이아pt | 2024 코파 아메리카 |
GK | 알렉산드르 레스카노 | 2001년 8월 26일 | 0 | 0 | C.S. 에레디아노es | 마이크로사이클, 2024년 5월 27–31일 |
GK | 케이로르 나바스RET | 1986년 12월 15일 | 114 | 0 | 무소속 | 아르헨티나, 2024년 3월 26일 |
DF | 제럴드 테일러 | 2001년 5월 28일 | 8 | 1 | 하트 오브 미들로시안 FC영어 | 과테말라, 2024년 9월 9일 |
DF | 예이손 몰리나 | 1996년 1월 25일 | 1 | 0 | A.D. 과나카스테카es | 2024 코파 아메리카 |
DF | 더글라스 세케이라 | 2003년 9월 16일 | 0 | 0 | C.D. 나시오날pt | 2024 코파 아메리카 |
DF | 유르긴 로만 | 1997년 1월 19일 | 0 | 0 | A.D. 산 카를로스es | 우루과이, 2024년 5월 31일 |
DF | 호세트 페라자 | 2004년 12월 9일 | 0 | 0 | A.D. 산 카를로스es | 우루과이, 2024년 5월 31일 |
DF | 이베르손 살메론 | 2003년 3월 6일 | 0 | 0 | 무니시팔 그레시아es | 마이크로사이클, 2024년 5월 27–31일 |
DF | 파블로 아르보인 | 1998년 4월 3일 | 9 | 0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es | 아르헨티나, 2024년 3월 26일 |
DF | 알렉시스 감보아 | 1999년 3월 20일 | 3 | 0 | 리가 데포르티바 알라후엘렌세es | 아르헨티나, 2024년 3월 26일 |
DF | 야엘 로페스 | 1998년 12월 17일 | 3 | 0 | 리가 데포르티바 알라후엘렌세es | 아르헨티나, 2024년 3월 26일 |
DF | 이안 로렌스 | 2002년 5월 28일 | 4 | 0 | 리가 데포르티바 알라후엘렌세es | 엘살바도르, 2024년 2월 2일 |
DF | 제프리 발베르데 | 1995년 6월 10일 | 3 | 0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es | 엘살바도르, 2024년 2월 2일 |
MF | 올란도 갈로 | 2000년 8월 11일 | 19 | 3 | 리가 FClv | 2024 코파 아메리카 |
MF | 카를로스 모라 | 2001년 3월 18일 | 8 | 0 | 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ro | 우루과이, 2024년 5월 31일 |
MF | 더글라스 로페스 | 1998년 9월 21일 | 3 | 0 | C.S. 카르타기네스es | 우루과이, 2024년 5월 31일 |
MF | 앨런 크루즈 | 1996년 2월 24일 | 24 | 2 | C.S. 에레디아노es | 마이크로사이클, 2024년 5월 27–31일 |
MF | 엘리아스 아귈라르 | 1991년 11월 7일 | 22 | 2 | C.S. 에레디아노es | 마이크로사이클, 2024년 5월 27–31일 |
MF | 켄달 포라스 | 2002년 9월 8일 | 0 | 0 | 스포르팅 FCes | 마이크로사이클, 2024년 5월 27–31일 |
MF | 랜달 레알 | 1997년 1월 14일 | 29 | 1 | 내슈빌 SC영어 | 엘살바도르, 2024년 2월 2일 |
MF | 아론 수아레스 | 2002년 6월 27일 | 7 | 1 | 리가 데포르티바 알라후엘렌세es | 엘살바도르, 2024년 2월 2일 |
MF | 루이스 플로레스 | 1994년 1월 23일 | 1 | 0 | 스포르팅 FCes | 엘살바도르, 2024년 2월 2일 |
FW | 앤서니 콘트레라스 | 2000년 1월 29일 | 28 | 4 | 리가 FClv | 2024 코파 아메리카 |
FW | 스티븐 카데나스 | 1991년 12월 13일 | 0 | 0 | 스포르팅 FCes | 우루과이, 2024년 5월 31일 |
FW | 훌리안 우갈데 | 2005년 4월 12일 | 0 | 0 | 무니시팔 그레시아es | 마이크로사이클, 2024년 5월 27–31일 |
FW | 호스틴 데일리 | 1998년 4월 23일 | 2 | 1 | C.S. 카르타기네스es | 엘살바도르, 2024년 2월 2일 |
INJ 부상으로 인해 불참.
RET 국가대표팀에서 은퇴.
ILL 질병으로 인해 불참.
PRE 예비 명단.
WD 개인적인 사유로 불참.
4. 3. 역대 주요 선수
- 왈테르 센테노
- 파울로 완초페
- 힐베르토 마르티네스
- 크리스티안 볼라뇨스
- 카를로스 에르난데스
- 브리안 루이스
- 롤란도 폰세카
- 조엘 캠벨
- 케일러 나바스[13]
5. 대한민국과의 관계
코스타리카는 대한민국과 축구 분야에서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지 않다.
5. 1. 역대 전적

순위 | 선수 | 출장 | 골 | 활동 기간 |
---|---|---|---|---|
1 | 셀소 보르헤스 | 163 | 27 | 2008–2023 |
2 | 브라이언 루이스 | 147 | 29 | 2005–2022 |
조엘 캠벨 | 147 | 27 | 2011–현재 | |
4 | 월터 센테노 | 137 | 24 | 1995–2009 |
5 | 루이스 마린 | 128 | 5 | 1993–2009 |
6 | 케이로르 나바스 | 114 | 0 | 2008–2024 |
7 | 롤란도 폰세카 | 113 | 47 | 1992–2011 |
8 | 알바로 사보리오 | 112 | 36 | 2002–2021 |
9 | 마우리시오 솔리스 | 110 | 6 | 1993–2006 |
10 | 마이클 우마냐 | 102 | 1 | 2004–2017 |
순위 | 선수 | 골 | 출장 | 비율 | 활동 기간 |
---|---|---|---|---|---|
1 | 롤란도 폰세카 | 47 | 113 | 1992–2011 | |
2 | 파울로 완초페 | 45 | 73 | 1996–2008 | |
3 | 알바로 사보리오 | 36 | 112 | 2002–2021 | |
4 | 브라이언 루이스 | 29 | 147 | 2005–2022 | |
5 | 후안 울로아 | 27 | 27 | 1955–1970 | |
조엘 캠벨 | 27 | 146 | 2011–현재 | ||
셀소 보르헤스 | 27 | 163 | 2008–2023 | ||
8 | 로날드 고메스 | 24 | 91 | 1993–2008 | |
왈테르 센테노 | 24 | 137 | 1995–2009 | ||
10 | 호르헤 몽헤 | 23 | 27 | 1955–1961 |
참조
[1]
뉴스
Esta es la nueva imagen de la Federación Costarricense de Fútbol {{!}} Teletica
https://www.teletica[...]
2021-11-24
[2]
뉴스
The Hopes of Central America Rest on a Perpetual Underdog : World Cup 2014: Costa Rica Could Learn From Uruguay's Example
https://www.nytimes.[...]
2014-07-04
[3]
웹사이트
When Saturday Comes – Costa Rica goes crazy for the "team of migrants"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Costa Rica International Soccer Matches Since 1920
https://www.rsssf.or[...]
2009-08-28
[5]
웹사이트
"Los Chaparritos de Oro", la increíble generación de la Selección de Costa Rica en los 50
https://futbolcentro[...]
2022-04-22
[6]
웹사이트
¡Aztecazo!
http://wvw.nacion.co[...]
[7]
웹사이트
U.S. win stands as Costa Rica appeal blown away
http://edition.cnn.c[...]
2013-03-26
[8]
웹사이트
U.S. downs Costa Rica 1–0 in Gold Cup group stage, advances to quarters
http://www.cbssports[...]
[9]
웹사이트
El éxito de Costa Rica se debe a la paciencia, según exmundialista González
http://www.mundodepo[...]
2014-07-07
[10]
Webarchive
Group E. Spain 7– Costa Rica 0
https://www.fifa.com[...]
2022-11-23
[11]
웹사이트
Costa Rica, nel nome di Bora
https://www.rivistac[...]
[12]
웹사이트
Los convocados
https://www.facebook[...]
Federación Costarricense de Fútbol
[13]
웹사이트
Costa Ric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eb.archive.[...]
RSSSF
[14]
웹사이트
Costa Rica in the FIFA World Ranking
https://www.fifa.com[...]
[15]
웹사이트
まずイングランドが消えた…“まさか”のコスタリカ突破で「死の組」大混乱
http://web.gekisaka.[...]
講談社
2014-06-21
[16]
웹사이트
スペイン、名手ナバスから圧巻の7ゴール!シュートを1本も打たせずコスタリカを粉砕
https://www.goal.com[...]
2022-11-24
[17]
웹사이트
日本代表、一瞬の隙が命取りに…終盤ルーズなクリアからコスタリカに先制され敗戦、決勝T進出に大きな痛手
https://www.goal.com[...]
2022-11-27
[18]
웹사이트
「この日本代表に勝てたのは非常に価値がある。夢はまだ続いている」コスタリカ指揮官が歓喜
https://www.goal.com[...]
2022-11-27
[19]
웹사이트
日本代表、コスタリカに敗れるのは5試合で初。シュート13本で無得点に終わり前例は…
https://www.goal.com[...]
2022-11-28
[20]
웹사이트
大国ドイツ、まさかの2大会連続GL敗退…コスタリカに勝利も得失点差で及ばず
https://www.goal.com[...]
2022-12-02
[21]
웹사이트
Costa Ric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www.ruife.es/[...]
RSSSF
2021-04-01
[22]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